분류 전체보기154 [딥러닝] 단층 퍼셉트론(Single Layer Perceptron)의 개요 단층 퍼셉트론(Single Layer Perceptron) 이란? 가장 단순한 형태의 신경망이다. Hidden Layer가 없이 Single Layer로 구성되었고, 입력 피처들과 가중치, Activation, 출력 값으로 구성되었다. 출력 = F(w0(절편) + w1*x1 +w2*x2 + w3*x3 + ..... + wn*xn ) 가중치 합: 입력 feature들의 개별 값과 이 개별 feature에 얼마만큼의 가중치를 주어야 결정하는 가중치 값을 각각 곱하고 최종으로 더해서 나온 값 출력 = 가중치값에 Activation 함수를 적용한 값 학습방법 값과 실제값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weight 값을 찾는 과정이 퍼셉트론이 학습하는 과정 퍼셉트론이 학습하는 것은 최적의 W벡터[w0, w1, w2, w3.. 2022. 3. 5. [딥러닝] 딥러닝의 개요 딥러닝(Deep Learning)이란 여러 층을 가진 인공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, ANN)을 사용하여 머신러닝 학습을 수행하는 것으로 심층학습이라고도 부릅니다. 따라서 딥러닝은 머신러닝과 전혀 다른 개념이 아니라 머신러닝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인공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, ANN) 딥러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은 바로 신경망(Neural Network)입니다. 신경망이란 인간의 뇌가 가지는 생물학적 특성 중 뉴런의 연결 구조를 가리키며, 이러한 신경망을 본떠 만든 네트워크 구조를 인공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, ANN)이라고 부릅니다. 머신러닝(딥러닝 포함) 이란 입력 데이터가 주어 졌을 때 답을 유추해 .. 2022. 3. 5. [Python] 백준 2306번: 유전자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306 2306번: 유전자 DNA 서열은 4개의 문자 {a,c,g,t} 로 이루어진 문자열이다. DNA 서열에는 생명의 신비를 풀 수 있는 많은 정보가 들어 있다. 특히 KOI 유전자의 길이는 사람의 키와 깊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 www.acmicpc.net 1. 현재와 끝이 a, t or g, c이면 앞뒤 둘다 자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k인덱스를 기준으로 분할한다. 2. acattgagtc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a cattgagtc, ac attgagtc, aca ttgagtc, acat tgagtc 이런식으로 자를 수 있는데 앞뒤가 조건에 성립하면 acattgagt c 여기서, a cattgag t 앞뒤 한번에 분할할 수 있다... 2021. 11. 24. [Python] 백준 13325번: 이진 트리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325 13325번: 이진 트리 각 에지에 양수인 가중치가 부여된 높이가 k인 포화이진트리가 주어져 있다. 높이 k인 포화이진트리는 2k개의 리프를 포함하여 (2k+1 − 1)개의 노드를 가진다. 루트에서 어떤 리프까지의 거리는 www.acmicpc.net 1. 현재노드를 기준으로 최장길이를 구한다. 현재노드 > 다음노드 길이 + 다음노드 최장길이 2. 최장길이를 기준으로 양쪽노드에서 길이가 작은 노드의 길이를 올려준다. ( 현재노드 > 다음노드 길이 = 현재노드의 최장길이 - 다음노드의 최장길이가 된다. 노드를 루트1부터 왼쪽부터 시작하면 3번 노드를 기준으로하면 최장길이는 3이된다. 3에서6번노드의 길이가 더 짧으므로 현재노드의 최장길이(3.. 2021. 11. 23. 이전 1 ··· 21 22 23 24 25 26 27 ··· 39 다음